2008년 11월 12일 수요일

RAM (RANDOM ACCESS MEMORY)

메로리란 처리하고자 하는 명령이나 데이터,또는 처리된 결과의 정보를 저장할수 있는 장치.

스토리지(storage)와 메모리는 거의 같은 뜻이지만, 스토리지는 일반적인 기억장치를 나타내는데 비해메모리는 반도체 램으로 구성된 주 기억 장치를 가리키는경우가 많다.

RAM칩들로 구성된 컴퓨터의 작업 영역. 한시점의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의 수와 크기를 결정하고, 또한 처리할수 있는 자료의 양을 제한하는 컴퓨터의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프로그램의 실행과 자료의 양을 제한하는 컴퓨터의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프로 그램의 실행과 자료의 처리는 모두 메모리에서 이루어진다.

메모리의 성능을 최고로 끌어올리기 작업을 끝내면 관련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모두 빠져 나와야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가 있다.

같은 내 용이 메모리의 여기저기에 흩어져 처리 속도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없애려면 MemTurbo 같은 유틸리티로 메모리를 최적화한다.

찌꺼기를 없애고 데이터를 한 데 모아주어서 작업 속도가 빨라진다.메모리는 PC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이다.

워드프로세서로 숙제나 일기를 쓴다고 치자. 프로그램 을 수행시키는 순간부터 문서를 쓰고 작업한 내용을 보관하는 과정이 모두 메모리에서 이루어진다. PC 초보자들은 하드디스크와 메모리를 정확히 구별하지 못한다.

쉽게 얘기하면 메모리는 책상이고, 하드디스크는 책꽂이다. 책꽂이에서 필요한 책을 꺼내 책상 위에 펼쳐놓고 본 뒤 원래 자리에 돌려놓 는 것처럼, PC는 하드디스크에 보관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가져와 작업한 뒤 다시 되돌려놓는다.

책상 이 넓으면 여러 책을 한꺼번에 볼 수 있듯이 메모리가 많으면 여러 가지 일을 한꺼번에 처리한다. 램(RAM)은 메모리의 물리적인 표현이다.

메모리가 64MB라는 말은 메인보드에 꽂힌 램이 64MB라는 뜻이다. 램은 작동 원리에 따라 D램(Dynamic RAM)과 S램(Static RAM)으로 나뉜다.

보통 D램은 메모리로, S램은 캐시(메모리에 있는 데이터 가운데 CPU가 자주 쓰는 것을 보관하는 곳)로 쓴다. 콘덴서의 원리를 이용한 D램은 구조가 단순해 집적도(같은 공간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담느냐를 뜻한다)를 높이는 일이 S램보다 간단하다.

하지만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가 느리다. 리프레시(Refresh) 때문이다.콘덴서는 한 번 충전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방전된다.

따라서 메모리가 데이터를 날려버 리지 않으려면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충전해야 한다. 이것을 리프레시라고 부른다. 리프레시가 진행되 는 동안에는 어떤 작업도 처리하지 않는다.
S램을 메모리로 이용하면 PC 작업은 훨씬 빨라진다.

댓글 없음: